Server/- Linux
Tomcat 설정
즐겁게 하하하
2024. 10. 19. 15:31
728x90
server.xml
<!-- ********************** SSL ********************** -->
<Connector port="8443"
protocol="HTTP/1.1"
URIEncoding="UTF-8"
SSLEnabled="true"
scheme="https"
secure="true"
keystoreFile="/tomcat/ssl/인증서"
keystorePass="ddddddd"
sslProtocol="TLS"
connectionTimeout="20000"
maxThreads="700" />
<Realm className="org.apache.catalina.realm.UserDatabaseRealm"
resourceName="UserDatabase" />
<Host name="localhost"
appBase=""
unpackWARs="false"
autoDeploy="false">
<Context path="/"
docBase="/webapps/ROOT"
reloadable="true" />
<Context path="/editorImage"
docBase="/editorImage"
reloadable="true" />
<Valve className="org.apache.catalina.valves.AccessLogValve"
directory="logs"
prefix="localhost_access_log"
suffix=".txt"
pattern="combined"
resolveHosts="false" />
</Host>
톰캣 캐시 비우는법
./shutdown.sh # (Linux/Unix)
shutdown.bat # (Windows)
rm -rf /path/to/tomcat/work/*
rm -rf /path/to/tomcat/temp/*
rm -rf /path/to/tomcat/logs/*
또는 server.xml에서 캐시 비활성 처리
<Context cachingAllowed="false" />
톰캣 로그보는법
tomcat/conf/catalina.out 이용
tail -f 100 catalina.out
주의사항 : 로그 레벨 확인
주요 로그 레벨 종류 (중요도 낮은 순):
1. SEVERE – 심각한 오류
2. WARNING – 경고 메시지
3. INFO – 정보 메시지 (기본 값)
4. CONFIG – 구성 관련 정보
5. FINE – 상세한 디버깅 정보
6. FINER – 더 자세한 디버깅 정보
7. FINEST – 가장 세밀한 디버깅 정보
로그 예시 1 : logger_properties
# 기본 로깅 레벨 설정 (전체 적용)
.level=INFO
# 특정 로거에 대한 로그 레벨 설정
com.example.myapp.level=FINE
# 콘솔 핸들러 설정 (System.out 출력)
handlers=java.util.logging.ConsoleHandler
# 콘솔 핸들러의 로그 레벨
java.util.logging.ConsoleHandler.level=FINE
# 콘솔 핸들러의 출력 포맷 (기본 SimpleFormatter 사용)
java.util.logging.ConsoleHandler.formatter=java.util.logging.SimpleFormatter
설정 파일 적용 방법:
logger.properties 파일을 JVM에 적용하려면 다음과 같이 실행 시 매개변수를 설정합니다.
java -Djava.util.logging.config.file=경로/로/logger.properties -jar your-application.jar
이와 같이 설정하면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 로거가 logger.properties의 설정을 따르게 됩니다.
728x90